맨위로가기

도요토미 히데카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토미 히데카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이자 양자로,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나 거제도에서 병사했다. 그는 히데요시의 누나의 아들로, 동복 형 도요토미 히데쓰구와 함께 하시바 성씨를 사용했으며, 요도도노의 여동생 아자이 고우와 결혼하여 딸 사다코를 두었다.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등에 참여했고, 여러 차례 영지가 변경되었다. 임진왜란에서 9번대 대장으로 참전하여 거제도에 주둔하던 중 24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교토 젠쇼지에 매장되었고, 미망인 고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진왜란 참전 군인 사망자 - 신립
    조선 중기 무장 신립은 무과 급제 후 북방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당시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하였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묘소는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임진왜란 참전 군인 사망자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69년 출생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1569년 출생 - 다치바나 긴치요
    다치바나 긴치요는 전국 시대 규슈의 다치바나 씨족 당주로서 뛰어난 지략과 용맹함으로 가문을 이끌었으며, 시마즈 씨족과의 전투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후에도 활약한 여성 영주이다.
  • 기노시타씨 - 도요토미 히데나가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이복형으로, 뛰어난 행정 능력과 온화한 성품으로 히데요시의 천하통일에 공헌한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오다 노부나가 시대부터 형을 보좌하여 다수의 전투에 참여했고, 야마토 116만 석의 대다이묘이자 종이위 다이나곤까지 승진했으나, 통솔력과 정치적 능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기노시타씨 - 요도도노
    요도도노는 아자이 나가마사와 오다 노부나가의 여동생 오이치 사이에서 태어난 아자이 삼자매의 맏딸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이 되어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낳았으며, 히데요시 사후 히데요리의 후견인으로서 도요토미 가문의 실권을 장악하고 도쿠가와 막부와 대립하다 오사카 전투에서 패배하여 히데요리와 함께 자결한 인물이다.
도요토미 히데카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도요토미 히데카쓰 / 하시바 히데카쓰
원어 이름豊臣 秀勝 / 羽柴 秀勝
이명고키치 (小吉, 어린 시절 이름)
별칭단바노쇼쇼 (丹波少将), 단바노주나곤 (丹波中納言), 기후노 사이쇼 (岐阜宰相)
사망일1592년 10월 14일 (음력 1592년 9월 9일)
묘소젠쇼지(善正寺)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관직
관위지주 (侍従), 사코노에곤쇼쇼 (左近衛権少将), 곤주나곤 (権中納言), 종사위하 산기 (従四位下参議)
주군도요토미 히데요시
가문
씨족기노시타 씨 → 하시바 씨 → 도요토미 씨
가족 관계
아버지미요시 요시후사(三好吉房) (친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양부)
어머니닛슈(日秀) (친모)
형제형: 히데쓰구(秀次), 동생: 히데야스(秀保)
배우자고우(江, 아자이 나가마사浅井長政의 딸)
자녀사다코(完子)
기타 정보
아명고키치
가명 (통칭)단바노쇼쇼 (丹波少将), 오가키쇼쇼 (大柿少将), 단바추나곤 (丹波中納言), 기후추나곤 (岐阜中納言)
계명고토쿠인요간 (光徳院陽巖)
참여 전투조선campaign

2. 생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누나 도모(닛슈)의 아들이자 히데요시의 조카로, 1569년에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고키치(小吉)였다. 동복 형 도요토미 히데쓰구와 함께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어 하시바(羽柴) 성씨를 받았다. 히데요시의 측실 요도도노의 여동생인 아자이 고우와 혼인하여 딸 사다코를 두었다.[4]

히데요시의 양자가 된 시기는 불명확하지만, 1585년 12월에 하시바 히데카쓰(=오지 히데카쓰[5])가 병사한 직후인 1586년으로 여겨진다.[4] 일설에는 고키치가 오지 히데카쓰의 이름, 관직, 영지를 계승하여 단바 가메야마 성주가 되고 좌근위권소장에 임명되어 “단바 소장”으로 불렸다고 한다.[4]

1585년 9월 4일, 히데요시의 견책을 받은 가토 미쓰야스개역·칩거되어 몰수된 오가키 성에 이치야나오 나오스에가 옮겨가고, 나오스에의 오미 세타 성이 고키치 히데카쓰에게 주어졌다.[6] 같은 달 18일, 고키치 히데카쓰는 셋쓰 안오카지의 사찰 영지에 안도장을 발부했다.[7]

겐켄쿄키 1585년 10월 20일 조에는 같은 해 10월 18일경 고(崇源院)를 정실로 맞이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시기에 대해서는 1592년 2월이라는 설,[8] 1586년이라는 설,[9] 1585년이라는 설 등 다른 설도 있다.

1587년 규슈 평정에 참전하여 간세키성 공격에서 공을 세웠다. 1592년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9번대 대장으로 나가오카 다다오키 등 8,000명의 병사를 이끌었으나,[22] 거제도에서 24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24]

2. 1. 출생과 가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누나 도모(닛슈)의 아들이자 히데요시의 조카이다. 1569년에 히데요시의 누이 히데(日秀)와 미요시 요시후사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고키치(小吉)였다. 동복 형 도요토미 히데쓰구와 함께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어 하시바(羽柴) 성씨를 받았다.

나라 흥복사의 『다문원일기』에 따르면 고키치는 외눈박이(片目)였다고 하나,[4] 후쿠다 치즈루는 이는 잘못된 기록이며, ‘히데쓰구(秀次)의 「일복(一腹)」’이라는 사료의 내용을 “일안(一眼, 외눈)”으로 잘못 읽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히데요시의 양자가 된 시기는 불명확하지만, 1585년 12월에 하시바 히데카쓰(=於次秀勝[5])가 병사한 직후인 1586년으로 여겨진다.[4] 일설에는 고키치가 오지 히데카쓰의 이름, 관직, 영지를 계승했다고 하며, 단바가메야마 성주가 되어 좌근위권소장에 임명되었기에 “단바 소장”이라고 불렸고, 사료에서 양자를 혼동하는 경우가 잦다.

1585년 9월 4일, 히데요시의 견책을 받아 개역・칩거된 가토 미쓰야스가 오가키 성에서 쫓겨나자, 이치야나오 나오스에가 그곳으로 옮겨가고, 나오스에의 오미세타 성이 (아직 오지 히데카쓰가 생존 중이었지만) 고키치 히데카쓰에게 주어졌다.[6] 같은 달 18일에 고키치 히데카쓰는 셋쓰안오카지의 사찰 영지에 안도장을 발부했다.[7]

오지 히데카쓰와는 달리 후계자로 여겨지지 않았으며, 이후 고키치 히데카쓰의 형 히데쓰구가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었다.

『겐켄쿄키』 1585년 10월 20일 조에는 같은 해 10월 18일경 고(崇源院)를 정실로 맞이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시기에 대해서는 다른 설이 있다.

2. 2. 히데요시의 양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누나 도모(닛슈)의 아들이자 히데요시의 조카이다. 동복 형 도요토미 히데쓰구와 함께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어 하시바(羽柴) 성씨를 받았다. 히데요시의 측실 요도도노의 여동생인 아자이 고우와 혼인하여 딸 사다코를 두었다.[4]

히데요시의 양자가 된 시기는 불명확하지만, 1585년 12월에 하시바 히데카쓰(오지 히데카쓰[5])가 병사한 직후인 1586년으로 여겨진다.[4] 일설에는 고키치가 오지 히데카쓰의 이름, 관직, 영지를 계승하여 단바 가메야마성주가 되고 좌근위권소장에 임명되어 “단바 소장”으로 불렸다고 한다.[4]

1585년 9월 4일, 히데요시의 견책을 받은 가토 미쓰야스개역·칩거되어 몰수된 오가키성에 이치야나오 나오스에가 옮겨가고, 나오스에의 오미 세타성이 고키치 히데카쓰에게 주어졌다.[6] 같은 달 18일, 고키치 히데카쓰는 셋쓰 안오카지의 사찰 영지에 안도장을 발부했다.[7]

겐켄쿄키 1585년 10월 20일 조에는 같은 해 10월 18일경 고(崇源院)를 정실로 맞이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시기에 대해서는 1592년 2월이라는 설,[8] 1586년이라는 설,[9] 1585년이라는 설 등 다른 설도 있다.

2. 3. 혼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로, 히데요시의 측실 요도도노의 여동생인 아자이 고우와 혼인하여 딸 사다코를 두었다.[8]

겐켄쿄키 덴쇼 13년 10월 20일조에는 같은 해 10월 18일경에 고우를 정실로 맞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대해서는 다른 설이 있다. 분로쿠 원년 2월이라는 설이 유력하지만,[8] 이 경우 불과 한 달 만에 아이를 가졌다는 이야기가 되므로, 덴쇼 14년이라는 설도 있다.[9]

2. 4. 규슈 정벌

1587년 3월 1일, 히데카쓰는 규슈 정벌에 본영 병력 5,000명을 이끌고 종군했다.[10]

히데요시의 본대는 아카마가세키(시모노세키시)에서 고쿠라에 상륙하여 29일에 나가노 타네노부의 부젠 마가다케성을 함락하고 입성했다. 31일, 히데카쓰, 가모 우지사토, 마에다 토시나가는 시마즈 측 아키즈키 타네자네 휘하의 구마이 히사시게가 지키는 간세키성(암석성) 감시를 명령받았다. 군의에서 가모 우지사토와 마에다 토시나가가 교통의 요충지인 간세키성을 함락시켜 달라고 히데요시에게 요청했고, 승인되어 히데카쓰가 공격의 총대장에 임명되었다. 4월 1일, 가모 부대 2천여 명과 마에다 부대 3천 명이 분전했고, 히데카쓰 부대는 예비대로서 지원하여 성을 함락시켰다. 간세키성 공격의 전공은 총대장인 히데카쓰의 것으로 돌렸다. 5월 8일, 시마즈 요시히사가 머리를 깎고 히데요시에게 항복하여 전역은 끝났다.

2. 5. 임진왜란 참전과 죽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이자 양자인 도요토미 히데카쓰는 1592년 임진왜란에 참전했다. 히데카쓰는 9번대 대장으로 나가오카 다다오키 등 8,000명의 병사를 이끌었다.[22] 히데요시는 조선 통치의 최유력 후보로 히데카쓰를 고려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맡겼다.

1592년 5월 3일, 히데카쓰는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함께 이키섬(壱岐島)에서 거제도(巨済島)로 건너갔다.[23] 7월 16일 히데요시는 거제도에 성을 쌓고 그 감독을 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히데카쓰는 거제도에서 반년 정도 주둔하던 중 9월 초에 병에 걸렸다. 히데요시는 (일오켄 소코)를 파견하여 문병하게 하였으나, 9월 9일 히데카쓰는 거제도에서 24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24]

히데요시는 히데카쓰의 사망 소식을 9월 말경에야 알게 되었는데, 그의 죽음은 너무나 갑작스러운 것이었다. 구로다 간베에(如水)가 귀국하여 잔무 처리를 하고,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를 포함한 부교슈(奉行衆)의 지시로 여러 다이묘(大名)가 공동으로 히데카쓰의 부대를 맡아 부산성을 지키게 되었다. 히데카쓰의 유령(遺領)인 기후성과 가신단, 9번대의 지휘권은 오다 히데노부에게 주어졌다.

히데카쓰의 유해는 교토 사가가메야마(嵯峨亀山)로 운송되어 젠쇼지(善正寺)에 매장되었다.

3. 사후

이후 고우에도 막부 제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재가하였고, 외동딸 사다코는 고셋케 중 하나인 구조가의 당주 구조 유키이에와 혼인하여 후일 기타노만도코로[27]의 지위에 올랐다.

4. 일화

애꾸눈이었다는 설이 있다.[28]

5. 계보

도요토미 히데카쓰는 고(에, 崇源院)와의 사이에서 다마코를 낳았고, 후지와라씨 섭관가 구조류의 구조가 당주 구조 유키이에에게 시집가 정실이 되었다. 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구조 미치후사이며, 소겐인(고)과 히데타다의 딸 덴슈인의 딸이자 외손녀인 렌조인은 구조 미치후사의 정실이 되어 마치히메를 낳았다.

마치히메는 구조 미치후사의 양사자인 구조 가네하루 (다카쓰카사 노리히라의 아들)의 정실이 되어 구조 스케자네를 낳았다. 그 후, 구조 가네하루로부터 9대 후의 당주 구조 미치타카의 딸 사다코가 다이쇼 천황에게 시집가 데이메이 황후가 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황실·미야케인 쇼와 천황 이후의 천황가에는 히데카쓰와 고(에)의 혈통이 이어지고 있다. 즉, 천황가는 오다 노부히데, 아자이 나가마사, 도요토미 히데카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먼 후손이라고 할 수 있다.

히데히로라는 아들이 있었다는 설도 있고, 실제로 히데타다가 선물을 주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6. 평가

(내용 없음)

7. 관련 작품

도요토미 히데카쓰와 관련된 작품은 다음과 같다.

7. 1. 소설

지본 고타카(智本光隆)의 소설 『도요토미 시대 혼란의 기담 천하인의 피』(가켄 역사군상 신서)가 있다.

7. 2. 텔레비전 드라마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2] 웹사이트 Gifu Castle brochure https://www.gifucvb.[...]
[3] 논문
[4] 논문
[5] 문서 織田信長의 사남, 히데요시의 양자. 고키치 히데카츠보다 1살 연장으로 추정되고 있다.
[6] 문서 대일본사료 11편 20책 36면
[7] 문서 대일본사료 11편 20책 320면
[8] 서적 전국삼자매 이야기 각와쇼텐
[9] 서적 토코나미시와 삭은 {{NDLDC|2991503/50}}[...]
[10] 서적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전 신인물왕래사
[11] 논문 하시바씨 하사와 도요토미씨 하사
[12] 문서 군서류종 제47-48책(권40-41) {{NDLDC|2559080/77}}[...]
[13] 문서 사료종람 11편 912책 251면
[14] 문서 사료종람 11편 912책 317면
[15] 서적 야마나시현사
[16] 논문 고후성의 사적 위치-가이국 직풍기 연구서설-
[17] 서적 가이의 미술・건축물・성곽 이와다쇼텐
[18] 문서 사료종람 11편 912책 317면
[19] 문서 천정 18년 9월부 하시바 히데카츠 흑인장(야마나시현립박물관 위탁 「우좌구구유문서 및 관련자료 일괄」)
[20] 논문
[21] 문서 분로 원년으로의 개원은 12월 8일(그레고리력 1593년 1월 10일)에 행해졌지만, 관례에 따라 1592년에 분로를 사용한다.
[22] 문서 사료종람 11편 912책 353면
[23] 서적 도요토미씨 시대 정편 조선역 상권 {{NDLDC|1223744/236}[...] 민유사
[24] 서적 도요토미씨 시대 무편 조선역 중권 {{NDLDC|1223757/61}}[...] 민유사
[25] 문서 대일본사료 12편 2책 288면
[26] 논문
[27] 문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실 네네(ねね)의 호칭으로 유명하나 원래는 관백의 정실에게 붙는 일반 호칭이다.
[28] 서적 도요토미 히데요시 가족 사전 2013-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